고등학교 때부터 대금을 연주하고 경기도립국악단(현 경기시나위 오케스트라)에서 대금 수석으로 연주와 작곡을 병행하며 활동하다 무한 반복되는 연주자의 일상이 괴로워 그만두고 작곡에 전념하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 작곡 공부를 좀 더 하고 돌아와 현재 한국에서 작곡가의 생활을 하고 있다.
초기에는 남들 따라 선율과 리듬으로 마치 전쟁 영화음악 같은 음악을 작곡했지만, 본질적인 작곡 기법에 접근하게 된 계기는 ‘거문고’이다.
오래전 친구의 거문고 현을 교체하는 작업을 도와줄 때, 현을 술대로 튕겨가며 누르고 때리고 괘에 현을 마찰시키는 소리에 매료가 되어 순간 “아! 거문고 전공할걸”이라는 후회를 한 적이 있다. 사실 나는 대금 전공보다 1순위를 거문고로 적었는데, 학교 선생님의 강력한 협박에 못 이겨 대금 전공을 하게 된 것이다.
거문고뿐만이 아니라 우리 전통 악기들은 고유의 장식 기법이라는 화려함을 갖고 있는데 말하자면 음정 하나를 소리 내고 곧이어 다양한 방법으로 화려하게 꾸미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서 독특한 음색의 변화가 일어나고 피아노 음 같이 처음부터 끝까지 그 음정을 유지하는 것이 아닌 음정을 내고 다양한 방법으로 음의 굴곡을 주어 변형을 일으킨다.
그래서 나의 작곡 기법에는 항상 고정된 음정이 아닌 살아 숨 쉬듯 움직이는 소리를 찾아 헤매고 다닌다. 나아가 악기에서 표현할 수 있는 극한의 한계까지 두루뭉술 넘어가지 않고 연구하고 체계화하여 모든 연주자가 표현이 가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 전통악기가 무려 67여 종이나 있는데 실제로 사용하는 악기는 불과 10여 종 밖에 되지 않는다. 나는 이 모든 악기를 사용하고 싶다. 그리고 전통적인 연주 기법을 바탕으로 현대적 기법을 개발하여 미래의 전통을 만들고 싶다.
이렇게 열심히 탐구적인 작곡 활동을 하다 보니 ‘대한민국 작곡상’ ‘신악회 작곡상’ ‘한국문화예술위원회 ARKO에서 우수작곡가 감사장’ 등을 수상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국악관현악으로 함춘호 기타 산조 협주곡 ‘imitation’과 7인의 생황 주자를 위한 국악관현악 ‘균(均)’ 실내악으로는 ‘음의 정원’ ‘씻김’ 시리즈가 있고 독주곡으로는 ‘해죽(海竹)’ ‘대금의 현대적 기법’ 등이 있고 음반으로는 ‘이선(異線)’이 있다.
현재는 서울대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후학 양성에 힘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