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라딘

헤더배너
상품평점 help

분류국내저자 > 역사

이름:김지영

국적:아시아 > 대한민국

출생:1966년, 대한민국 서울

최근작
2022년 6월 <제국의 탈바꿈>

김지영

1966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1985년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에 입학하여 철학과 정치학을 공부하였고, 1991년 같은 대학교 대학원 러시아 동구지역학과에서‘오스트리아-헝가리 이중왕국연구’라는 논문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 한국인으로는 처음으로 헝가리의 외트베시 로란드 대학교(ELTE) 근현대 헝가리 역사학과 박사 과정에 입학하여 공부하였다. 1999년 10월에‘2차 세계대전기간 및 이후 강대국들의 트랜실바니아 정책’이라는 논문으로 최우등(Summa Cum Laude)의 성적으로 역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이 박사 학위 논문은 1999년 헝가리 고등교육 및 연구재단에 의해 그 해의 우수 논문으로 선정되어, 단행본으로 출간되었다. 1999년 가을 귀국하여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대우교수,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 조사관, 서강대학교 HK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헝가리어과의 강사로 헝가리 역사를 가르치고 있으며, 헝가리 외교부 산하 국제문제연구소의 객원 연구원이기도 하다.
‘헝가리 전통문화연구’(공저)‘, 중유럽 민족문제’(공저)‘, 인물로 보는 유럽통합사’(공저) 등 10여권의 저서가 있고, 헝가리-오스트리아 제국의 역사, 헝가리 사학사, 헝가리 현대사와 관련하여 20여 편의 논문을 썼다.  

대표작
모두보기
저자의 말

<모순의 제국> - 2013년 5월  더보기

「모순의 제국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사」는 국내 최초로 번역, 출간되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사에 관한 책이다. 이 책의 저자인 디오세기 이슈트반(Dioszegi Istvan)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에 대해 자타가 공인하는 세계 최고의 전문가로서, 헝가리 학술원 회원이자 헝가리 부다페스트 외트베시 로란드 대학교의 명예 교수이다. 저자는 본격적인 학문 활동을 시작한 1960년대 초반부터 우수한 논문과 저서를 발표하여, 다수의 저서가 헝가리를 비롯하여 세계적으로 저명한 출판사에서 출간되었다. 그의 저서는 여러 나라의 대학에서 헝가리학 연구의 기본 교재로 사용되고 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는 오늘날 중부 유럽과 발칸 유럽 국가들의 전사(前史)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이 지역의 역사를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를 연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서구에서조차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를 다룬 전문 연구서가 그리 풍부하다고 할 수는 없다. 특히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 정책, 외교사에 대해 본격적으로 서술한 책은 이 「모순의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외교사」가 거의 최초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더욱 더 빈약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서양사 연구가 시작된 이래로 현재까지 기왕에 출간된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역사서는 다섯 손가락을 넘지 못한다. 따라서 이 책은 그간 주된 관심의 영역에서 소외되어 있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 연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본격적인’연구서로서 그 학문적 가치가 매우 높다.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은 현존하는 헝가리, 폴란드, 체코, 슬로바키아,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루마니아 등의 역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오늘날 우리가 동유럽이라고 부르는 지역은 모두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후속국이거나, 혹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해체의 산물인 것이다. 따라서 이 국가들의 역사를‘제대로’이해하기 위해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구조와 정책 집행, 특히 외교정책에 대한 깊은 분석과 설명이 이루어지고 있다. 원래 이 책의 헝가리어 원저는 단행본 형태로 출간된 것이 아니다. 이 책에 있는 글들은 그간 디오세기 교수가 발표한 학술 논문과 기고문을 모아서 영어로 번역해놓은 것이다. 일반적으로 논문을 모아 단행본으로 만든 후 다시 그것을 번역하는 것이 상례인데, 이 과정을 거치지 않고 바로 영어로 번역하여 단행본으로 만든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매우 드문 예로서, 이 저서가 갖는 의미를 보여준다. 더군다나 이 책의 기획과 출판이 영미권 학자들의 요청에 의하여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매우 획기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책의 번역에 사용한 논문은 모두 헝가리어 원전이며, 교정 과정에서 영어로 된 번역본과 일일이 대조하여 검토하였다.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역이 없다고 장담할 수 없다. 독자 여러분의 질정을 바라며, 잘못된 내용은 개정판에서 수정하기로 하겠다. 이 책의 번역 출간을 흔쾌히 허락해 주신 디오세기 이슈트반 선생님께 깊은 감사와 존경의 말씀을 드린다. 금년 우리 나이로 여든넷이 되신 선생님께서는 생전에 한국어로 자신의 책이 번역되어 나온다는 점에 대해 크게 기뻐하시며, 관심과 격려를 아끼지 않으셨다. 부다페스트대학교 근현대헝가리사학과 차이들러 미클로시(Zeidler Miklos) 교수는 역자와 박사 학위 과정을 함께한 동료이자 친구로서 이 책의 번역에 사용한 헝가리어 원문을 일일이 찾아서 보내주는 수고를 마다하지 않았다. 역자의 박사 학위 지도 교수이자 평생의 스승이신 롬시치 이그나츠(Romsics Ignac) 선생님은 작년 6월 한국을 방문하셨을 때, 이 책에 대하여 깊은 관심과 격려를 보여주셨다. 끝으로 동학의 길을 걸으며 바쁜 와중에도 난삽한 번역 초고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고 영어본과 한글 번역본을 대조하며 꼼꼼한 수정을 마다하지 않은 동생 창석에게 깊이 감사한다. 창석의 도움이 없었더라면 이 책은 나오지 못했을 것이다. 이 책이 한국외국어대학사교 출판부에서 나오게 되었다는 점은 외대가 갖고 있는 글로벌한 특성상 가장 훌륭한 선택이라고 생각한다. 어려운 내외의 사정에도 불구하고 이 책을 출간해 주신 출판부와 담당자인 신선호 선생님의 노고 또한 이 자리에 적어 사의를 표한다.

- 역자서문
가나다별 l l l l l l l l l l l l l l 기타
국내문학상수상자
국내어린이문학상수상자
해외문학상수상자
해외어린이문학상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