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의 서문에서 조문영은 자신에게 인류학의 의미를 이렇게 정리한다. "나에게 인류학적 세계 읽기란 단단한 이해를 거쳐 책임 있는 비판을 길어내는 과정이었다." 이 문장 이후로 따라오는 세상 비판, 삶의 이해에 대한 책임감과 열망에 관한 묵묵한 고백은 왠지 낯설지 않다. 인문학, 사회과학을 정확하게 공부하고자 하는 이들의 마음 깊은 곳에는 저마다 이와 비슷한 열망이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권위를 경계하고 자신을 의심하며 오로지 실낱같은 진실들을 찾아내어 그것으로 쌓아 올린 세계의 비판적 상을 구성하는 일. 마주하는 순간마다 기존의 문법에서 균열을 발견하고 새로운 관점을 만들어내는 것은 분명히 어렵고 고독한 일일 테지만, 이를 성공적으로 해낸 작업물은 비슷한 길을 따르는 동료 시민들에게 큰 기댈 언덕이 되어 준다.
그리고 이 책이 그렇다. 인류학자로서 그가 만나고 기록한 세계는 구석구석 입체적이고 섬세하게 비판적이다. 한 편 한 편 칼럼들에서 그의 시선은 주로 빈민, 노동자, 노인, 여성, 장애인, 원주민, 이주민, 지방, 비인간 등 '취약한' 존재들에 머무른다. 그리고 이들과 나, 이들과 당신들, 이들과 세계의 관계를 끊임없이 묻고 연결하고 재정의한다. 각자의 세계가 만나는 접촉면에 관한 주목은 지금 한국 사회의 민중들이 도달한 '연결'의 감각과 공명한다. 연결을 일차원적으로 감각한 다음에 우리는 어떤 구체적인 질문을 해나가야 할까? 조문영의 칼럼들은 이 고민에 대한 실마리를 쥐고 있다. 그의 글은 조심스럽고 성찰적이며 책임감 있게 삐딱하다. 현시대가 요구하는 지식인의 태도라고 감히 말해본다. - 인문 MD 김경영
하지만 나는 여전히 비판을 소중히 여기며, 실수와 실패를 거듭하면서라도 견실한 비판 공론장을 만드는 일에 힘을 쏟고 싶다. 문화적 취향, 정치적 선호, 삶의 지향, 타자를 향한 시선이 알고리즘에 따라 분기하고 데이터로 묶여 상업화되는 세계는 관계의 고유성을 무시하고, 우리 감정을 극도로 피폐하게 만든다. 비판이 떠난 자리에 들어선 비난은 벨 듯한 언어로 상대를 제압하는 데만 열중하면서 평범한 시민들로 하여금 갈등과 혐오를 피해 자신의 수사적 고향을 찾아 칩거하게 만든다. 이들이 각자의 고향에서 요새를 만들고 '안전'을 기준으로 타인-침입자를 감별하는 사회는 우리를 일상적 긴장 상태에 가둔다. 코로나19 '종료'가 선언된 이후에도 세상이 별반 바뀌지 않았다고 느껴지는 이유다.